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62

아버지께서 주신 잔 요한복음에서 '잔'이라는 말이 본절에서만 나타나고 있으며 공관복음서에서 언급된 잔의 의미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막 10:38, 39;14:36).특히 본서에서는 언급되지 않은 공관복음서의 겟세마네 동산에서 행해졌던 예수의 기도가 본절에서 함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눅 22:42). 눅 22:42/ 가라사대 아버지여 만일 아버지의 뜻이어든 이 잔을 내게서 옮기시옵소서 그러나 내 원대로 마옵시고 아버지의 원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 하시니 여기서 잔이 의미하는 것은 그리스도 예수가 겪어야 할 수난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수난의 잔이 우연히 발생된 것이 아니라 죄악된 인류를 구원하고자 하는 하나님의 구원 섭리임을 강조하기 위해 예수는 '아버지께서 주신'이라고 말씀하셨다. 요한은 그리스도의 사역과 관련하여 공관복음.. 2023. 6. 19.
성경에서의 매춘(창녀, 남색) 구약에는 통상적인 창녀와 이방 종교 의식에 속해 있던 성스러운 창녀가 다 언급되어 있다. 다말은 양편 모두에 해당하는 창녀였다(창 38:15,21). 창 38:15/ 그가 얼굴을 가리웠으므로 유다가 그를 보고 창녀로 여겨 창 38:21/ 그가 그곳 사람에게 물어 가로되 길 곁 에나임에 있던 창녀가 어디 있느냐 그들이 가로되 여기는 창녀가 없느니라 이스라엘 왕정 시대에는 이방 종교의 남색자들이 널리 퍼져 있었다(왕상 14:24). 왕상 14:24/ 그 땅에 또 남색하는 자가 있었고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자손 앞에서 쫓아내신 국민의 모든 가증한 일을 무리가 본받아 행하였더라 기생 라합은 믿음으로 여호수아의 정탐꾼을 숨겨 줌으로써 칭찬을 받았고(히11:31;약 2:25), 그리스도의 조상이 되었다(마 1:5)... 2023. 6. 19.
그리스도를 닮음 '똑같음, 닮음'이라는 말로 번역되는 헬라어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가 있다. (1)호모이오시스(70인역에서 이 헬라어는 종종 히브리어 드무트를 번역한 말로 쓰였다): 이 단어는 창세기 1;26과 야고보서 3:9에서 사용되었다. 이것은 모양이나 모습은 다른데, 추상적인 의미가 같은(닮은) 것을 뜻한다. 약 3:9/ 이것으로 우리가 주 아버지를 찬송하고 또 이것으로 하나님의 형상대로(ὁμοίωσις) 지음을 받은 사람을 저주하나니 (2)호모이오테스(히브리서4;15;7:15에 쓰였다): 이것은 서열이 같은 것, 즉 동등성을 의미한다. 히 4:15/ 우리에게 있는 대제사장은 우리 연약함을 체휼하지 아니하는 자가 아니요 모든 일에 우리와 한결 같이(ὁμοίωσις)시험을 받은 자로되 죄는 없으시니라 (3).. 2023. 4. 2.
성경에서의 '똑바른, 곧은'의 의미 "똑바른, 곧은"을 뜻하는 용어들은 구약성경에 두드러지게 나온다. 정직한이란 뜻을 지닌 오르도스(ὀρθός)란 헬라어는 신약성경에 단지 두 번이 나온다. 똑바로 서라(행14:10)와 곧은(straight) 길을 만들라(히12:13)이다. "큰 소리로 가로되 네 발로 바로(ὀρθός) 일어서라 하니 그 사람이 뛰어 걷는지라"(행 14:10) "너희 발을 위하여 곧은 길을 만들어 저는 다리로 하여금 어그러지지 않고(ὀρθός) 고침을 받게 하라"(히 12:13) 히브리어 동사 야사르 ישר' (27회) 형용사 야솨르(119회), 명사 요쉐르(14회), 메솨르(19회, 언제나 복수), 미쇼르(23회) 등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종류의 의미로서 사용되었다. (1)문자적으로는 '똑바른, 곧게 선' 혹은 .. 2023. 4. 2.
로마 카톨릭의 독신생활의 역사와 성경의 가르침 이 말(독신생활)은 미혼을 의미하는 라틴어 캘렙스에서 온 것으로 성직자 편에서 결혼에 대한 조사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수도사에 관한 규칙에 관계된다. 로마 가토릭 교회는 성직자가 니케아 회의(325년) 당시까지만 해도 사도들의 교회의 관례와 일치하여(딤전 3;1-12) 자유롭게 결혼한다는 것을 인정했다. 그러나 4세기말 경에 영성에 관한 이중적인 표준이 교회 내로 잡입하였다. 당시 교회들들은 "천국을 위하여 스스로 된 고자"(마19:12)란 예수의 말씀에 주목하였다. 당시 교회들에 있어 "이 말을 받을 만한 자는 받을지어다"란 그의 결론은 자의적인 보다 높은 표준으로서의 독신 생활을 의미하는 것 같았다. 바울은 당시의 긴급한 상황을 인하여 사람은 결혼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를 더욱 온전히 섬길 수 있으리라.. 2023. 4. 2.
아나톨레(ἀνατολή, 돋는 해) 이것은 누가복음 1:78에 나오는 아나톨레란 단어를 번역한 것인데, 여자적으로는 '태양이 떠오르는 것'을 가리틴다. 눅 1:78/ 이는 우리 하나님의 긍휼을 인함이라 이로써 돋는 해(ἀνατολή)가 위로부터 우리에게 임하여 ▪︎떠오르는(태양과 별), ▪︎동쪽(해가 뜨는 방향) ¤ 아나톨레는 아나톨레오(ἀνατέλλω)에서 유래했다. 기본적인 뜻은 "일으키다", "땅이 식물을 낳다", "(해와 달과 별들)이 상승하다, 발생하다, 상승하다, ~에서 내려오다"이다. 그런데 누가복음 1:78에서는 새벽을 의미하고, 신약성경의 다른 곳에서는 동녘을 가리킨다. SBK2권 113페이지에는, 가지를 뜻하는 히브리어 체마흐가 70인역에서 이 단어(돋는 해)로 번역되어 있으며, 이것은 메시야의 칭호라고 한다. A.. 2023. 4. 2.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