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162 물매 물매는 목자들이 거친 짐승들을 쫓을 때 쓰는 것이다(삼상 17:34이하,40). 베냐민지파 사람들이 이것을 전쟁 무기로 사용한 것처럼(왕상12:2), 애굽인, 앗수르인, 바벨론인들도 전쟁할 때 이것을 사용했다. 이것은 작은 가죽 조각(돌을 싸기 위한)에 두 개의 노끈이 매어져 있다. 이것을 머리 위에서 돌리다가 갑자기 끈 하나를 놓아 돌을 날려 보낸다. 물매는 주로 양가죽으로 만들어졌는데, 던질 돌을 넣을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넓게 엮어져 있었다. 그리고 이 물매의 한쪽 끝에는 끈이 달려져 있어 엄지에 연결하여 물매를 돌려 던질 수 있도록 하였다. 당시 이러한 물매는 막대기와 더불어 목자들의 필수 도구였는데, 곧 목자들은 물매로써 (1) 옆길로 새는 양떼를 멀리서도 통제하고 (2) 양을 노략하려는 야.. 2023. 10. 20. 배수진(背水陣) '배수진'이란 병법의 상식을 깨뜨렸던 한신의 이야기에서 나온 말로서, 반드시 이겨야겠다는 필사적인 각오로 싸움에 임한다는 뜻. 옛날 중국 한나라에서 한신이란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한신은 제대로 된 훈련 한 번 받지 못한 군사를 거느리고 엄청난 대군과 싸움을 하게 되었는데 그 때 한신의 군사들은 큰 강물을 등지고 진을 쳤다. 이건 커다란 모험이었다. 병법에 는 배수진, 다시 말해 강을 등지고 싸워서는 절대로 안 된다고 하기 때문이다. 한신의 군사들은 훈련 한 번 받지 못한 사람들로 이뤄졌다. 만약 원래의 병법대로 싸웠다면 서로 먼저 도망치기 바빴을 것이다. 그런데 뒤에 강이 있으니 필사적인 각오로 싸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병서에서도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면 이기고 살기를 바라고 싸우면 진다는 것을 이용한.. 2023. 10. 13. 염곡 "다윗이 염곡에서 에돔 사람 일만 팔천을 쳐죽이고 돌아와서 명예를 얻으니라"(삼하 8:13) 염곡, 즉 '소금 계곡'(the valley of salt)이란 뜻이다. 그런데 이곳의 정확한 위치는 분명치 않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논란이 있다. (1)혹자는 이곳이브엘세바 동쪽의 '와디 엘 밀'(Wady el-Milh)이라고 주장한다. (2)그러나 또 다른 사람은 이보다 더 신빙성있는 곳으로 사해 남쪽의 '에스 셉카'(es-Sebkha)를 제시하고있다. 이곳은 사해 남쪽 아라바 광야의 소금 지역이다. 이 중 (1)번의 견해보다 (2)번의 견해가 더 타당한 듯하다. 그 까닭은 다윗이 그의 전성 시기에 이스라엘 지경 내에있는 '와디 엘 밀' 보다 이스라엘 지경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에서 에.. 2023. 6. 26. 많은 물 "저가 위에서 보내사 나를 취하심이여 많은 물에서 나를 건져내셨도다"(삼하 22:17) 여기서 '건지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마솨' )는 모세가 나일 강물에서 건짐을 받았을 때 사용된 용어이다(출 2:10). 그러므로 이 말에서 '모세'라는 이름이 파생되었다. 다윗은 여기서 '많은 물'로부터 건지움 받은 자신의 구원을 나일 강물로부터 건지움받은 모셍의 경우에다 비유하여 여호와의 크신 구원의 은총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는것이다(Luther, Keil, Fay). 한편, 그리고 여기서 '많은 물'은 '사망의 물결' 또는 '불의의 창수'(5절)와 같은 죽음의 위험과 재앙을 가리킨다(시 32:6;46:12;69:2, 3;사 43:2). 유브라데(Euphrates) 강과 바벨론 평원에 물을 공급하는 여러 수로들.. 2023. 6. 26. 목이 곧다(목이 곧은 백성) 목이 곧은 것은 교만을 의미했다(사 48:4). 사 48:4/ 내가 알거니와 너는 완악하며 네 목의 힘줄은 무쇠요 네 이마는 놋이라 '목이 곧은 백성'은 이스라엘의 불순종과 거역, 어리석은 거만 따위를 나타내는 은유적 표현이다(출 10:16; 출 32:9; 33:3, 5; 대하 30:8). 출 32:9/ 여호와께서 또 모세에게 이르시되 내가 이 백성을 보니 목이 곧은 백성이로다 이처럼 '목을 곧게 한다'는 것은 하나님께 대한 인간의 완고함, 불신앙을 나타내는데, 이는 주로 자신의 일이 형통할 때, 교만해짐으로써 범하기 쉬운 죄악이다(느 9:25, 26). "네가 애굽 땅에서 나오던 날 부터" 즉, 이스라엘의 40년 광야사(曠野史)는 불순종과 거역으로 점철된 패역한 표현으로는 '내가 너희를 알던 날 부터'.. 2023. 6. 26. 여호와의 명령 "내가 너희에게 명하는 말을 너희는 가감하지 말고 내가 너희에게 명하는 너희 하나님 여호와의 명령을 지키라"(신 4:2) 직역하면 '여호아의 입'이다. 그런데 이는 그분의 입을 통해 나온 분명하고도 구체적인 말씀을 가리키는데, 그것은 곧 하나님의 성품에 근거한 것으로서 반드시 지켜야 할 명령임을 시사해 준다.이 부분은 시간적 순서에 구애 받지 아니하고 단지 이스라엘 백성들의 타락으로 인해 야기된 당시의 심각한 상황을 전달하고자 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이스라엘 신세대들에게 그들이 가나안 땅에 들어가 그 땅의 풍요로움을 누릴 수 있게 된 것이 결코 그들의 의나 공로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긍휼과 은총에 근거한 것임을 분명히 깨우쳐 주고 있다. 2023. 6. 26. 이전 1 2 3 4 5 6 7 ··· 27 다음 728x90 LIST